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의학에서 텍스트비평과 문헌학

저는 한의대 시절 하버드 출신의 김용옥교수에게 동양철학을 수강했습니다. 그가 나중에 한의대 다니면서 그렇게 입에 거품을 물고 비판했던 것이 있습니다.  한의학계의 '텍스트 비평'과 '문헌학'의 부재입니다. 좀 생경스럽죠? 뭔 이야기일까요? 저는 졸업을 하고 고전을 보는 재미에 빠졌었는데, 신농본초경의 원문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었습니다. 왜냐! 제 책장에는 신농본초경이 꼽혀있었기 때문이죠. 이 텍스트들이 모두 후대에 짜집기를 통해 만들어진 것이라니 '속았다!!'라는 생각 밖에 안들었습니다. 이후로 침의 득기감으로 배운 '산마중창', 약물의 처방의 근거가되는 '군신좌사'등이 모두 현대 한의학계에서 만들어진 이론이란 사실을 알고 또 속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의학은 누구든 그냥 지 뇌내 망상을 지껄이기만 하면 새로운 학설이 되는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지요. 현대 중의학에서 신주단지 모시듯 하는 설진 역시 청대 후반의 이론이란 것은 가히 충격적이었습니다. 고전을 공부하면서 산마중창, 군신좌사, 설진등이 최초로 거론된 문헌을 찾아가는 길은 매우 험난했습니다. 모두들 당연한 듯 떠들어대고 있지만, 실로는 누구도 정확한 근거를 대지 않았으니까요.

 

한의학계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논쟁에는 논거가 필요합니다. 논거는 크게 아우톱시아(autopsia), 즉 실험등을 통해 보고 검증된 근거와 히스토리아, 과거의 문헌적 근거를 들수 밖에 없습니다. 서양의학에서야 히스토리아(historia)의 근거가 무슨 근거겠냐마는, 한의학에서는 기나 경락이나 팔강변증이나 실험적으로 밝혀지지 않거나, 밝혀지지 않은 개념에 대하여 히스토리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히스토리아에 의지한 근거라도 어느 언제 누구의 어느 판본에서 참조한 것이라는 내용을 밝혀야 합니다. 허나, 한의학계는 그저 황제내경이라면 하나의  성서처럼, 절대적 문헌처럼 취급되어 버리니 안타깝습니다. 실제 성서는 매우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고, 문헌학이 가장 많이되고 있는 것이 성경입니다. 서양학문에서 문헌학이 매우 특별한 전문분야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의학에서, 적어도 고전을 인용하는 한의사라면, 그 고전의 정확한 시대적 배경과 판본, 문헌적 진위등은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여기서 판본학과 문헌학이 대체 무엇인지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문헌학

Philology (문헌학)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philos" (φίλος)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애정을 의미합니다. 또한 "logos" (λόγος)는 말, 기록을 뜻합니다. 그래서 philology는 문자 그대로 "기록에 대한 애정" 을 의미합니다. 역사적으로, 문헌학은 고대 문서 속 언어를 연구하여 언어의 구조, 발달, 그리고 언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학문입니다. 문헌학은 넓은 의미에서 문학 작품, 특히 고대 또는 고전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그 의미, 문법, 그리고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문헌학자들은 텍스트의 다양한 판본이나 사본을 비교하여 가장 정확한 버전을 재구성하고 그 텍스트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추적합니다. 문헌학은 특히 한의학의 고전 텍스트와 같은 고전 언어와 역사적 문헌을 다룰 때 여전히 중요한 학문으로 여겨집니다.

 

2. 텍스트 비평
Textual Criticism (텍스트 비평)은 서로 다른 사본이나 판본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가장 원본에 가까운 형태를 찾아내는 학문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필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수정, 또는 변형을 식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학자들은 철자, 단어 선택, 그리고 다른 텍스트적 변이를 검토하여 가능한 한 원본에 가까운 형태로 텍스트를 재구성합니다. 텍스트 비평가는 사본들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찾아내고, 가장 오래된 사본을 평가하거나 여러 판본을 비교하며, 텍스트가 필사되거나 번역되었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등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합니다.  초기 한의학 서적들은 원본이 없습니다. 후대에 다양한 텍스트가 존재했고 상당히 많은 부분은 후대에 고쳐지거나, 재구성, 추가되었습니다. 이런 수정의 배경을 이해하고, 비평적으로 텍스트를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문헌학과 텍스트 비평의 차이점:
- 문헌학은 텍스트의 정확성을 연구하는 텍스트 비평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역사적, 언어적, 문학적 배경을 연구하는 더 넓은 학문입니다. 언어의 발전, 단어의 의미, 문학적 형식, 그리고 텍스트와 관련된 문화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텍스트 비평은 문헌학의 한 부분으로, 텍스트의 원본을 재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기술적이고, 주로 사본 비교와 수정에 관한 작업에 집중합니다.

참고) 설진의 기원이야 내경에도 있지만, 독립된 서적이 원나라때 처음 나왔고, 이 원나라때 설진 서적은 현대의 것과 완전히 다른 시스템이며, 현대의 설진은 청대 후반부터 현대에 완성된 개념입니다. 그럼, 문헌적 근거가 부족한 설진이 실험적 근거라도 있느냐 묻는다면, 저는 없다고 하고 싶습니다.

 

During my time at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I took a course in Eastern Philosophy from rekowned Professor Kim Yong-ok, a Harvard graduate. There was something he later criticized vehemently while attending the Korean Medicine college. It was the absence of 'textual criticism' and 'philolog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Sounds a bit unfamiliar, doesn't it? What does this mean?

After graduating, I became fascinated with studying classics, but I was shocked to learn that there was no original text of the Shennong Bencao Jing. Why? Because I had a copy of the Shennong Bencao Jing on my bookshelf! Learning that these texts were all compiled in later periods made me feel deceived. Subsequently, I felt deceived again when I learned that theories like 'Sanmajungchang' (sān mǎ zhōng chuāng, relating to the sensation of obtaining qi in acupuncture) and 'Gunsinjwasa' (jūn chén zuǒ shǐ, the basis for herbal prescriptions) were all theories created by modern Korean Medicine. I began to wonder if Korean Medicine was a field where anyone could just spout their delusions and create a new theory.

It was quite shocking to learn that even tongue diagnosis, which is revered in modern Chinese Medicine, is a theory from the late Qing dynasty. While studying the classics, the journey to find the first mentions of Sanmajungchang, Gunsinjwasa, and tongue diagnosis was very challenging. Everyone seemed to talk about these concepts as if they were obvious, but in reality, no one provided accurate sources.

In the numerous debates within Korean Medicine, arguments need evidence. Evidence(rationale) can largely be divided into autopsia (evidence seen and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and historia (historical textual evidence). While in Western medicine, historical evidence may not carry much weight, in Korean Medicine, we have to rely on historia for concepts like qi, meridians, or eight principle pattern identification that haven't been or can't be experimentally proven. At the very least, when relying on historical evidence, one should specify which version, by whom, and from when the reference is taken. However, it's unfortunate that in Korean Medicine, texts like the Huangdi Neijing are treated as absolute, like a bible. In reality, there are many different versions of the actual Bible, and it's one of the most studied texts in philology. In Western academia, philology might be a very specialized field. However, in Korean Medicine, at least for practitioners who quote classics, they should understand the accurate historical background, versions, and textual authenticity of these classics. So, let's briefly look at what exactly philology and textual criticism are.

1. Philology
The word "Philology" comes from the Greek "philos" (φίλος), meaning love, and "logos" (λόγος), meaning word or text. So philology literally means "love of text". Historically, philology is the study of language in ancient texts to determine the structure, development, and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s. In a broader sense, philology is the study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works, especially ancient or classical ones, to understand their meaning, grammar, and cultural context. Philologists compare various editions or copies of texts to reconstruct the most accurate version and trace how the text evolved over time. Philology is still considered an important discipline,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classical languages and historical texts like Korean Medicine classics.

2. Textual Criticism
Textual Criticism is the study of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t manuscripts or editions to find the form closest to the original. It focuses on identifying errors, corrections, or alterations that occurred during the copying process over time. Scholars examine spelling, word choice, and other textual variations to reconstruct the text as close to the original as possible. Textual critics use various techniques such as comparing manuscripts to find differences, evaluating the oldest copies or comparing multiple versions, and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exts were copied or translated.

Early Korean Medicine books don't have original manuscripts. There were various texts in later periods, and a considerable part was revised, reconstructed, or added later. I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se modifications and view the texts critically.

Differences between Philology and Textual Criticism:
- Philology is a broader discipline that studies not only the accuracy of texts (textual criticism) but also the historical, linguistic, and literary background of texts. It includes analyzing language development, word meanings, literary forms, and the culture related to the text.
- Textual criticism is a part of philology that focuses on reconstructing the original text. It's more technical and mainly focuses on comparing and correcting manuscripts.

Note) While the origin of tongue diagnosis can be found in the Neijing, the first independent book on it appeared in the Yuan dynasty, and this Yuan dynasty tongue diagnosis book has a completely different system from the modern one. The modern concept of tongue diagnosis was completed from the late Qing dynasty to the modern era. If asked whether there is experimental evidence for tongue diagnosis, which lacks textual evidence, I would say no.